2025학년도 의과대학 복귀 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전국 주요 대학 의대생들의 복귀율이 가시화되고 있다.
교육부가 ‘3월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의대 정원을 원상복구(3058명)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주요 대학의
복학률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는 전원 복귀가 유력하고, 고려대학교도 복귀율이 80%를 넘어서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은 의정 갈등 대응 테스크포스(TF)가 실시한 등록 찬반 투표 결과 찬성률이 66%에 달하며 사실상
등록으로 방향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복학원 제출과 수강 신청을 마치며 복귀 수순을 밟고 있다. 서울대는 오는 3월 31일부터 학사 일정을 재개하며, 첫 1~2주는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연세대학교도 비상대책위원회가 공식적으로 복귀를 결정하면서, 전체 학생들이 이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등록 마감 이후에도 복귀 의사를 밝힌 학생들이 추가 등록에 나서면서 연세대는 사실상 복귀율 100%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학교는 복귀율이 약 80%에 이르렀다. 지난 25일 고려대 의대 학생 대표들이 “복학생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이후, 분위기가 급변했다. 복귀를 망설이던 학생들도 대거 복학 상담에 나서며, 200명이 넘는 제적 대상 학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측은 3월 28일까지 등록 마감을 앞두고 제적 조치도 병행할 예정이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외에도 이화여대, 부산대, 동국대, 제주대, 영남대 등도 등록 마감을 완료하거나 마감 임박한 상태다. 성균관대, 경희대, 가톨릭대, 인하대 등도 3월 말까지 복귀 시한을 두고 최종 등록률을 집계할 계획이다.
한편,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의대협은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사태의 종결은 총회원의 뜻에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일부 대의원들이 단독 복귀를 결정한 점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내부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의대 정원을 기존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으며, 복귀하지 않을 경우 기존 증원안인 5058명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대학별 복귀율은 단순한 등록률을 넘어서, 향후 의료 정책과 정원 정책의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2025학년도 의대생 복귀율은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서울대와 연세대의 복귀가 현실화되면서 다른 대학들에서도 복귀 결정을 내리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의정 갈등이 전환점을 맞이한 가운데, 이달 말 최종 복귀율과 정부의 공식 입장이 향후 의료 교육과 정책의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정년 연장 논의 본격화 (0) | 2025.03.28 |
---|---|
글로벌 금융시장의 금, 환율, 국채, 원유 동향 (1) | 2025.03.28 |
2025 대기업 복지 경쟁 본격화 (7) | 2025.03.27 |
2025 청년주택 정책 총정리: 무주택 청년을 위한 정부 지원제도 (3) | 2025.03.27 |
2025 서울 부동산 가격 전망: 상승 압력과 규제 사이의 줄다리기 (3) | 2025.03.24 |